아파트 전기요금 따로 납부하고 싶때?
-
이사 간 후 정산이 꼬였을 때
-
분리세대(임대인/임차인)가 각각 전기요금을 부담할 때
-
고지서 금액이 너무 비정상적으로 나왔을 때
-
개인 계량기를 따로 설치한 경우
1. 아파트 전기요금의 기본 구조
아파트는 보통 다음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로 전기요금을 관리
대부분의 아파트는 단일계약 방식을 사용 관리사무소가 대신 한전에 요금을 내고 세대별로 관리비에 포함시켜 받습니다.
즉, 입주민은 한전이 아닌 관리사무소에 납부하는 구조
2. 아파트 전기요금을 별도로 납부하려면?
아래의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개별 납부로 전환이 가능하거나 문의할 수 있어요.
가. 세대별 계량기 설치 여부 확인
-
관리사무소에 문의하여 세대 계량기 번호 확인
-
계량기 번호가 있다면, 한전에 직접 연락해서 세대별 계약으로 전환 신청 가능
나. 한전에 직접 문의하기
-
123번(한전 고객센터) 또는 한전 지사 방문
-
주소, 계량기 정보 등을 바탕으로 개인계약 요청
-
계약 변경에는 건물 구조나 관리사무소 동의가 필요할 수 있음
다. 개별 계약 시 준비서류
-
전기이용신청서
-
신분증 사본
-
건물 구조도 (필요 시)
-
임대차 계약서 (세입자인 경우)
3. 현실적인 대안: 전기 사용 내역 확인 및 조정
만약 계약 전환이 어렵다면 아래 방법도 고려해보세요.
-
관리사무소에 검침 내역 요청
→ 내가 실제 쓴 전기량을 알 수 있어요. -
이의제기 및 분할 요청
→ 동거인, 임대인과의 사용비율 조정 요청 가능 -
분리계량기 설치 요청
→ 조건이 맞으면 설치 가능 (단, 설치비 부담 발생)
관리비 앱에서도 확인 가능!
요즘은 '아파트아이', '생활비서', '위빌아파트' 같은 관리비 확인 앱을 통해 전기요금 내역과 추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과다 청구 여부도 확인 가능하니 꼭 써보시길 추천
아파트 전기요금은 기본적으로 관리사무소를 통해 납부하는 구조예요. 하지만 개인 납부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
세대별 계량기 확인
-
한전과 직접 계약 요청
-
관리사무소 협의
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조금 귀찮긴 해도, 본인 부담을 정확히 하고 싶을 땐 꼭 짚고 넘어가야겠죠?
댓글
댓글 쓰기